반응형

🗓️ 문제 설명

  • 나만의 카카오 성격 유형 검사지를 만드려고 합니다.
  • 성격 유형 검사는 4개의 지표에 따라 두 유형 중 하나로 결정됩니다.
1번 지표 라이언형(R) 튜브형(T)
2번 지표 콘형(C) 프로도형(F)
3번 지표 제이지형(J) 무지형(M)
4번 지표 어피치형(A) 네오형(N)
  • 검사지에는 총 n개의 질문이 있고, 각 질문에는 (매우 비동의, 비동의, 약간 비동의, 모르겠음, 약간 동의, 동의, 매우 동의)와 같은 7개의 선택지가 있습니다.
  • 각 선택지는 고정적인 크기의 점수를 가집니다.
  • 매우 동의와 매우 비동의는 3점, 동의와 비동의는 2점, 약간 동의와 약간 비동의는 1점, 모르겠음은 0점입니다.
  • 검사 결과는 모든 질문의 성격 유형 점수를 더하여 각 지표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성격 유형이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. 단, 하나의 지표에서 각 성격 유형 점수가 같으면 사전순으로 빠른  성격 유형을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.
  • 질문마다 판단하는 지표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survey와 검사자가 각 질문마다 선택한 선택지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choi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
  • 검사자의 성격 유형 검사 결과를 지표 번호 순서대로 반환하세요.
  • 제한 사항
    • 1 ≤ survey의 길이 ≤ 1000
      • survey의 원소는 'RT', 'TR', 'FC', 'CF', 'MJ', 'JM', 'AN', 'NA' 중 하나
      • survey[i]의 첫번재 캐릭터는 i+1번 질문의 비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
      • survey[i]의 두번째 캐릭터는 i+1번 질문의 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
    • choices의 길이 = survey의 길이
      • choices[i]는 검사자가 선택한 i+1번째 질문의 선택지
      • 1 ≤ choices의 원소 ≤ 7
      • 1은 매우 비동의, 7은 매우 동의를 의미
  • 입출력 예시
survey choices return
['AN', 'CF', 'MJ', 'RT', 'NA'] [5, 3, 2, 7, 5] 'TCMA'
['TR', 'RT', 'TR'] [7, 1, 3] 'RCJA'

 

💻 코드

최종 코드

 

코드 풀이

 

반응형

+ Recent posts